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서울시 출산지원 정책 총정리

by snacknews2 2025. 7. 17.

2025 서울시 출산지원 정책 총정리

 

 

출산·양육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서울시가 시행 중인 핵심 정책을 한눈에 보여드릴게요. 임신 전부터 출산 후, 아이 키우는 과정까지, 단계별로 필요한 정보를 모았습니다.


✅ 1. 임신·사전 건강관리 지원

  • 임신준비(가임력 검사): 2025년 1월 1일부터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으로 전환되어, 검진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 

✅ 2. 임산부·난임비용 지원

  • 난임 한의약 치료비 지원: 지원 대상 기준에 따라 해당 비용 일부 지원됨
  •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임신 35세 이상이면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일부 지원 

✅ 3. 산모·신생아 지원

  • 건강관리사 파견: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포함 가정 대상 산모·신생아 방문 지원 바우처.
    • 출산 예정일 40일 전~출산일 후 60일까지 신청 가능.
  • 삼둥이·쌍둥이 이상 가정: 축하 물품 제공.

✅ 4. 출산 가정 주거비 지원

  • 무주택 출산 가정 대상
  • 월 30만 원 × 24개월, 최대 720만 원 지원됨.

✅ 5. 육아 지원 서비스

  • 서울형 아이돌봄비: 24~36개월 아동 대상 돌봄비 지원.
  • 서울엄마아빠택시: 24개월 이하 자녀 대상 연 10만 원 상당 택시 이용권.
  • 첫째 출산 시 둘째 육아 돌봄: 둘째 출산 가정에 첫째 돌봄비 지원 .

✅ 6. 직장맘 & 출산휴가 지원

  • 1인 자영업자 등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 부부 근로자 통합 출산휴가 신청 가능 (2025년부터) .
  • 육아휴직 확대·부모함께·한부모 지원금: 육아휴직 급여 250만 원 상한, 동료 대체인력 지원 확대.

✅ 7. 기타 지원

  • 산후유축기 대여 서비스.
  •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
  • 임산부 심리상담센터 운영 (강남·송파·보라매·금천 등)
  • 엄마 북돋움(도서 추천) 등 정보 지원 서비스

📋 한눈에 비교표

단계 주요 지원 내용

임신 전 가임력 검사 지원 임신준비 검진비 등
임산부 난임, 의료비 지원 한의약 치료, 35세 이상 의료비
출산 건강관리사 바우처 기초위기가정 대상
쌍둥이 이상 축하 물품 삼둥이 이상 포함
주거 주거비 지원 월 30만 × 24개월
육아 돌봄비·택시바우처 24개월 이하 자녀 지원
직장맘 육아휴직·휴가급여 확대된 부모출산휴가 포함
기타 유축기, 심리상담 임산부 필수 서비스

💡 꿀팁 & 주의사항

  1. 출산 전 반드시 지원 신청 필요!
    특히 무주택 주거비·건강관리 바우처 등은 출산 전후 특정 시기 신청 필수.
  2. 대상 여부 꼼꼼 체크
    기초수급·차상위·외국인 등 여부에 따라 바우처 금액 상이.
  3. 온라인+방문 병행 신청
    대부분 서울시 포털, 보건소·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4. 정책은 연 단위로 개정됨
    매년 1분기 공고 확인 필수!

✅ 결론

“서울시는 임신 전부터 출산, 육아, 직장맘까지 생애주기형 맞춤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임신 전 검진부터 주거·돌봄·심리·휴직 지원까지 서울시 정책 한 번에 챙기세요!

 

 

 

 

 

 

 

 

 

 

 

 

 

 

 

 

 

 

 

 

 

 

 

 

 

 

 

 

 

 

 

 

 

 

 

 

 

 

 

 

 

 

 

2025 서울시 출산지원 정책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