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청년도약계좌.
하지만 대상자 조건이 복잡하고 까다롭다는 말에 신청을 포기한 분들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청년도약계좌 조건을 핵심만 쏙쏙 정리해드릴게요.
정부의 지원을 제대로 받고 싶은 청년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저소득~중산층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장기 적금 제도입니다.
최대 5년간 납입 시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국가가 금리와 지원금을 보태주는 방식이에요.
📌 2025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 연령 요건
- 만 19세 ~ 34세 이하 청년 (병역 기간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 가능)
✔️ 소득 요건
- 개인소득: 총 급여 기준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여기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모두 충족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해요!
✔️ 금융 재산 기준
- 가구 재산 3.8억 원 이하
- 고가의 차량이나 부동산 보유 시 제외될 수 있음
🏦 청년도약계좌,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 월 납입 한도: 70만 원
- 정부 기여금: 최대 월 40만 원 추가 지원
- 5년 만기 시 총 수령액: 약 5,000만 원+ (이자 포함)
👉 단, 정부 지원금은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돼요.
📅 신청 시기 & 방법
- 신청 시기: 2025년 상반기 (정확한 일정은 금융위원회 발표 예정)
- 신청 방법:
- 본인의 소득금액증명원과 가구원 정보 준비
- 청년도약계좌 전용 앱 또는 은행 앱을 통해 신청
- 신청 후 자격 확인 절차 진행 → 승인 후 납입 시작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 뭐가 다를까?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 | 소득 7,500만 이하 청년 | 소득 중위 100% 이하 청년 |
지원금 | 최대 월 40만 원 | 월 10~30만 원 |
만기 | 5년 | 3년 |
조건 | 상대적으로 넓음 | 저소득층 중심 |
➡️ 중산층 청년도 포함되는 건 청년도약계좌가 유일합니다.
📝 신청 전 주의사항
- 정부 지원금만 보고 무작정 가입은 금물!
-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모두 회수됩니다
- 조건 불충족 시 신청 거절될 수 있으니, 반드시 자격 요건부터 체크하세요.
🔍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월 70만 원 정도 납입 여력이 있는 청년
✅ 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
✅ 장기적인 목돈 마련을 계획 중인 분
✅ 청년내일저축계좌보다 더 높은 지원금을 받고 싶은 분
📌 마무리 요약
항목 내용
나이 | 만 19~34세 |
개인소득 | 연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 중위소득 180% 이하 |
정부지원금 | 월 최대 40만 원 |
만기금액 | 최대 약 5,000만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