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금이 부담되는 요즘, 특히 청년이라면 소형주택 전세자금 대출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소형주택 기준이 포함된 청년 전세대출의 조건, 금리, 한도, 신청절차와 꿀팁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 대출 상품이란?
정부가 지원하는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만 19~34세(군필자는 최대 39세)인 무주택 세대주 청년에게
전용면적 85㎡ 이하 소형주택 임차 시 저리로 전세 자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2025년 주요 조건 요약
🔹 나이 및 무주택
- 만 19~34세 세대주 (병역 이행자는 최대 39세까지 연장)
- 본인·세대원 모두 무주택자
🔹 소득 및 자산 기준
- 부부 합산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
- 총 순자산 3.37~3.45억 원 이하
🔹 주택 조건
- 임차 전용면적 85㎡ 이하, 전용면적 최대 기준 적용 (25세 미만 단독 세대주: 60㎡)
-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 금리 및 대출 한도
🔹 금리
- 기본 금리: 연 ~2.2%~3.3% (소득 구간별 차등 적용)
- 우대금리:
- 저소득층 등: 연 –1.0%p
- 한부모·장애인 등: –0.2%p
- 다자녀 가구 등: –0.3~0.7%p
- 추가 우대금리:
- 지방 소재일 경우 –0.2%p, 전자계약 등 조건 충족 시 더 낮을 수 있음
🔹 대출 한도
- 최대 2억 원(만 25세 미만 단독: 최대 1.5억 원)
- 또는 임차보증금의 80% 이내까지 대출 가능
📝 신청 시기 및 절차
- 계약 및 전입 후 3개월 이내 신청
- 온라인 또는 은행 방문 신청
- ‘기금e든든’ 웹사이트 또는 국민/농협/신한/우리 등 수탁은행 방문
- 필요 서류 제출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 자격증명서, 소득증빙 등
- 심사·대출 실행 → 보증서 발급
💡 꿀팁 & 주의사항
- 전자계약 시대 비대면 우대금리 챙기기
- 지방 거주 시 추가 우대금리 –0.2%p
- 소득·자산 구간별 금리 차이 확인 필수
- 제출 서류 준비 철저히 → 심사 지연 방지
- 중소기업 취업자 또는 청년 창업자라면 추가 우대 가능
👍 매력 & 단점 비교
💎 장점 ⚠️ 단점
저소득 청년에게 금리 2%대의 초저금리 | 무주택 세대주 조건 등 자격 요건이 까다로움 |
전용면적 85㎡ 이하 소형주택이면 신청 가능 | 계약·전입 후 3개월 내 신청해야 하는 기간 제약 |
우대금리 여러 겹으로 금리 더 낮출 수 있음 | 심사 기간(3–4주) 필요, 서류 누락 시 지연 가능 |
✅ 요약 정리
- 대상: 만 19~34세(군필 39세) 무주택 세대주 청년
- 소득/자산: 연 5,000만 원 이하 / 순자산 약 3.4억 이하
- 주택조건: 소형주택(85㎡ 이하), 보증금 3억 원 이하
- 금리: 조건 따라 1%대 ~ 3%대
- 대출한도: 최대 2억 원 (단독 1.5억) 또는 보증금의 80%
- 신청기간: 전입 또는 잔금일 기준 3개월 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