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유형별 대상 요건 비교
유형 대상 나이 소득 · 재산 취업 경험
1유형 (요건심사형 / 선발형) | 저소득 구직자 | 15 |
중위소득 60% 이하(청년 선발형은 120% 이하), 재산 4억 이하 (청년 5억 이하) | 최근 2년 내 100일 또는 800시간 이상 일한 사람청년 선발형은 경험 무관 |
2유형 | 특정계층·청년·중장년층 | ① 특정계층 15 |
특정계층·청년: 무관중장년: 중위소득 100% 이하 | 무관 |
특정계층: 기초수급자, 결혼이민자, 영세자영업자, 북한이탈주민, 한부모 등 포함
② 지원 내용 비교
항목 1유형 2유형
취업지원서비스 | O | O |
생계지원 | 구직촉진수당₩500,000 × 6개월 + 부양가족(최대 ₩90만/월) | ❌ 해당 없음 |
취업활동비용 | ❌ | 월 최대 ₩284,000 × 6개월 |
✅ 1유형은 생계 안정을 위해 월 최대 50만 원+α 수당
✅ 2유형은 취업훈련 참여 비용으로 월 최대 28만 원 지원
③ 추가 혜택 – 공통 제공
- 취업성공수당: 취업 후 근속 기간에 따라 최대 ₩1.5백만 지원
- 취업지원서비스: 개인별 상담, 훈련연계, 훈련비, 일경험 프로그램, 일자리 소개 등
④ 유형 선택 전략
- 1유형은 조건이 맞으면 이득! → 수당이 크므로 재산·소득·취업 경험을 꼼꼼히 확인
- 2유형은 조건 부담 적고 지원 대상 폭 넓음 → 특정계층, 청년, 중장년에 적합
⑤ 신청 방법
- 워크넷에 구직등록
- 온라인 또는 고용센터 방문 후 취업지원 신청
- 자격심사 → 선정(1개월 이내 통보)
- 취업활동계획 수립 → 수당 지급 및 취업지원 시작
✅ 결론
- 저소득 + 취업 경험 있다면 → 1유형 추천 (수당이 많음)
- 경험 없거나 조건 안 맞으면 → 2유형 선택 (지원 폭 넓음)
- 양 유형 모두 제공되는 취업지원서비스는 동일하기 때문에, 본인 우선순위(수당 vs 진입 조건)에 따라 유형 선택이 중요해요.